스마트 시티 (Smart City)
정의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스마트시티 종합 포털 smartcity.go.kr에서는 스마트 시티를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스마트도시에 대한 정의는 국가별 여건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기술을 활용하여,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며, 새로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플랫폼
한국의 스마트시티의 정의는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도시”란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하여 건설ㆍ정보통신기술 등을 융ㆍ복합하여 건설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말한다.
의미
다시 말해, 첨단 정보통신기술(ICT)로 인해 발전한 다양한 유형의 전자적 데이터 수집 센서를 사용해서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자산과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사용하는 도시 지역을 일컫는다.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도시 생활 속에서 유발되는 교통 문제, 환경 문제, 주거 문제, 시설 비효율 등을 해결하고 시민들이 편리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TL;DR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여 도시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시민들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 지속가능한 도시
스마트 모빌리티 (Smart Mobility)
서울디지털재단에서 정의한 스마트 모빌리티란 다양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중에서 스마트 모빌리티는 기존 교통체계와 스마트 기기의 첨단 기능의 융합으로 지능화된 미래 교통 서비스의 총체적 개념을 일컫는다.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스마트 모빌리티는 기존의 교통시스템에 다양한 융복합 기술을 응용하여 1) 자율주행과 같은 커넥티드 카 서비스, 2) 사물 인터넷 (IoT) 센서와 빅데이터 서비스를 활용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같은 인프라 서비스, 3) 모빌리티 장치의 통합 공유 플랫폼과 같은 MaaS (Mobility as a Services)를 제공한다.
국내외 스마트 시티 속 스마트 모빌리티 사례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별 도입서비스 및 범위(2023.12월 기준)
참고
스마트시티 종합포털 - SMART CITY KOREA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스마트시티 국가정책 정보포털. 스마트도시 정책 추진과정에서 생산된 정보를 한 곳에 모아 서비스하는 온라인 플랫폼입니다.
smartcity.go.kr
스마트시티(Smart City)
정책·사업>정책>정책용어사전
www.nabis.go.kr
스마트도시란? - 스마트도시 이야기 - 스마트도시 - 분야별정보 - 양천구청 대표홈페
스마트도시 정의 스마트도시의 정의(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스마트도시”란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스마트도시기술을 활용하여 건설된 스마트
www.yangcheon.go.kr
스마트도시의 정의 및 의미 | 스마트도시 | 스마트도시조성 | 주택/도시/건설 | 분야별정보 | 강동
강동구청,스마트도시의 정의 및 의미 스마트도시의 정의(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스마트도시”란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스마트도시기술을 활용
www.gangdong.go.kr
자율주행 차량이 스마트시티와 연결된다면? - LG CNS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www.lgcns.com
자율주행자동차 > 자율주행자동차 운행 > 자율주행 안전구간, 시범운행지구 지정 등 > 자율주행
자율주행 안전구간, 시범운행지구, 자율주행 안전구간 지정, 자율주행 안전구간 지정 세부기준,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지정
www.easylaw.go.kr
KAIA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스마트 시티에서 스마트 모빌리티의 역할 (2019)